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교육 매개체
교과서는 교육과정과 수업을 매개하는 교수 학습 자료 중에 하나다. 교육과정은 그 문서의 특성상 포괄적이고 함축적이다. 수업은 학생, 교사, 교실 규범, 학교 문화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변화무쌍하다. 교과서는 교육과정과의 부합성을 고려하여 개발된다. 또한 국내외 연구 결과 및 현장의 의견을 반영하여 수업 상황과의 적합성을 고려하여 개발된다.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역량이나 내용과 지도 방법을 수업 현장에서 구현하기란 쉽지 않으나 이 어려움을 다소 해소하는 데 교과서라는 매개물이 도움을 준다.
교과서는 수업 설계 및 수업 실행에 있어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왔다. 수업 실행 측면에서 살펴보면,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은 적극적인 해석이 필요하므로 교육과정을 구현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일은 중요하다. 또, 교과서는 친절한 수업 보조 도구이기도 하다. 교사들의 교과서 활용도는 여전히 높고, 교과서가 수업 설계 및 실행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기 때문에 좋은 교과서의 필요성은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서책형 교과서의 한계를 극복하려면
교과서는 제약 속에서 개발된 최선의 결과물이지만 아쉬운 점도 있다. 서책형 교과서이기 때문에 자료 제시 형태 및 자료의 분량 등에 한계가 있다. 즉각적인 자료 수정이나 삭제, 최신 자료의 추가 등도 어렵다. 교과서를 개발할 때 많은 의사 결정을 하지만 기본적으로 가상의 학생 또는 일반적인 수업 상황을 가정하여 개발하기 때문에 변화무쌍한 수업 상황을 감당하기 어려운 측면도 있다.
최근 교육 환경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혼합한 형태로 변모하고 있다. 교과서가 가진 제약을 극복하는 기회로 삼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 온라인 환경을 긍정적으로 활용한다면 교수 학습 자료의 제시 형태 및 제시 분량이 얼마간 자유로워진다. 온라인 환경은 자료의 즉각적인 수정이나 삭제, 자료의 수집이나 추가 등이 편리하다.
이 편리함을 활용한다면 수준별 혹은 개인별 맞춤형 수업 설계가 그리 부담스럽지 않은 일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교수 학습 자료, 학생, 교사 본인, 교실 규범 등에 대한 피드백을 축적하고 반성하여 딥러닝할 수도 있다.
교과서의 기본은 사고 능력을 키우는 것
교과서의 활용과 교육의 목적은 사고 능력 신장이란 점에서 일맥상통 한다. 수학 교과서를 예로 들면, 수학 교과서는 수학적으로 사고하고 의사소통하여 생활의 문제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하고 문제 해결을 통한 경험의 장을 마련해야 한다.
쉬운 교과서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이는 교과서에 쉬운 내용만 담아야 한다는 요구로 해석하기보다 내용을 기반으로 사고 능력과 미래의 핵심 역량을 조화롭게 길러 줄 수 있는 교과서를 요구한다고 볼 수 있다.
오늘날, 교과서는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변모하고 있다. 블랜디드 수업 환경의 장점을 활용한다면 교과서의 전통적인 역할은 수행하되 교과서보다 효과적이고 포괄적인 교수 학습 자료가 등장할 수 있다고 기대한다.